Parent-Implemented Communication Strategies During Storybook Reading Abstrac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may experience delays in their ability to speak and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peers, and others. These children often benefit from evidence-based, parent-implemented communication interventions. In the current study, two mothers were trained and coached to use storybook reading techniques and evidence-based naturalistic communication teaching strategies (i.e., modeling, mand-model, and time delay) while reading books with their children with DD. Using a multiple-baseline …
Abstract Nail biting (NB) is a common, but unresolved, problem in psychiatry, psychology, medicine and dentistry. While it seems that NB is a simple behavior that can be stopped easily, many of the children with NB have already tried to stop it, but they have not been successful. The frustrations due to failed attempt involve others such as parents and siblings. The present review aims at providing an overview of prevalence, co-morbidities, education and counseling, …
Friman, Patrick C., Hayes, S.C., & Wilson, K.G. (1998). Why behavior analysts should study emotion: The example of anxiet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1, 137-156. doi: 10.1901/jaba.1998.31-137 Flood, W.A. & Wilder, D.A. (2004). The use of differential reinforcement and fading to increase time away from a caregiver in a child with separation anxiety disorder.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27, 1-8. Hagopian, L.P. & Jennett, H.K. (2008). Behavioral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nxiety in individuals with …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discrete trial teaching: DTT)는 행동주의와 응용행동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수전략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응용행동분석과 함께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증거 기반의 실제로 인정되면서 그 방법론적인 적용이나 교수 성과의 일반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0년간 자폐 범주성 장애인에게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를 수행한 국외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논문은 25편이었으며, 이 중 …
자폐 범주성 장애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을 가지는 신경 발달 장애이기 때문에,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유아는 이들이 속한 다양한 환경 속에서 타인과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을 할 때 어려움을 가진다. 특히 이들이 가지는 상호작용적인 결함은 일차적으로 가정 내 양육자와의 의사소통 및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함은 이후 교육기관과 지역사회에서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이른 시기에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돕는 체계적인 교육 및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
자폐 범주성 장애는 생애 초기 영아기에 발견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기 개입의 효과가 크게 기대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판별에 준거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 발달의 어려움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초기 특징이다. 이로 인해 영아기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진단하는 주요한 지표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은 상대방의 공동관심 시도에 반응하는 공동관심 반응행동과 공동관심을 시작하는 공동관심 시작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반응적 의사소통전략을 적용한 환경중심 중재에 대한 교육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
자폐 범주성 장애는 생후 초기인 영아기에 발견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기 개입이 이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 발견 및 조기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판별에 준거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 발달의 어려움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영아는 자신의 필요를 표현하거나 요청하는 행동을 하는 데에는 특별한 어려움을 가지지 않는 것에 비하여 외부의 초점에 대해 사회적인 참여를 보이거나 상대자의 상호적인 관심에 …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 brief parent-mediated intervention would increase the frequency of question asking in children with ASD. Mothers participated in a 3-week training consisting of 2-h sessions twice weekly. Data were collected in the context of concurrent multiple baseline design. Results demonstrate all three children increased frequency of question asking with two children maintaining gains. All three children demonstrated generalization of question asking to novel items, family members, and/or settings. Affect improved …
부모교육을 통한 섭식장애 아동의 행동치료 = Parental Implementation of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아동기 섭식장애는 정상발달과 장애아동 모두에게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보고되는 문제이며, 미숙아 생존율과 함께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임상상황에서 정확히 분류나 진단이 되지 않거나 체계적인 치료사례가 극히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장애(Failure-to-thrive) 진단을 받은 정상발달 여아 두 명을 대상으로 응용행동분석을 이용한 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치료에는 선행사건 조작(유아용 식탁의자, 식사시간 조절 등), 정적 강화, 문제행동의 소거(Non-Removal of Spoon), …
부모직접교수가 자폐성 영아의 지시따르기 및 문제행동, 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arent Instructor Training through Video-feedback for Autistic Disorder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보이는 2세 아동의 부모 직접교수의 효과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아동의 행동중재를 위하여 부모에게 치료자가 고안한 응용행동분석방법을 직접 교수하도록 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직접 교수의 기법에는 고안된 프로그램을 교육받기, 직접 교수하기, 비디오 피드백 받고 다시 교수하기, 가정에서 부모가 자기관찰을 통하여 교수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재 전후와 행동 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