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ve Reinforcement 정적 강화의 정의와 본질 1. 정적 강화는 2단계 유관성으로 정의되는 기능적 관계이댜 한 반웅에 자극의 변화가 즉각적으로 뒤따르면, 그 결과로 미래에 비슷한 반웅이 더 자주 일어난다. 2. 반웅 증가에 책임이 있는 자극 변화를 강화제라고 한다. 3. 즉각적인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 단 1초의 반웅-반응 지연도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강화제가 제시될 때 일시적으로 가장 가까이 있었던 행동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장기간 지연된 결과의 효과는 강화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보아서는 안 된다. 5. …
신뢰로운 측정의 지표, 측정 타당도에 대한 위협,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위협하는 요인, 행동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도 평가하기
, 행동 측정을 평가하기 위해 관찰자 간 일치도 사용하기
측정은 표준화된 법칙에 근거하여 관찰된 사건의 속성에 양적인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행동은 시간 내, 그리고 시간을 두고 발생하기 때문에, 세 가지 범주적 수량을 가지는데, 반복성(횟수), 발생범위(지속시간), 그리고 발생시점(언제 행동이 발생하는가)이 이에 속한다.
응용행동분석에서 평가의 역할, 목표 행동의 사회적 중요성 평가하기, 목표 행동의 우선순위 정하기, 목표 행동 정의하기, 행동 변화 위한 기준 정하기
응용행동분석은 행동의 법칙에서 나온 방법들을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적용하고, 실험을 통해 행동 변화에 주가 되는 변인을 알아내기 위한 과학이다.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discrete trial teaching: DTT)는 행동주의와 응용행동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수전략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응용행동분석과 함께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위한 증거 기반의 실제로 인정되면서 그 방법론적인 적용이나 교수 성과의 일반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최근 10년간 자폐 범주성 장애인에게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를 수행한 국외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논문은 25편이었으며, 이 중 …
자폐 범주성 장애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을 가지는 신경 발달 장애이기 때문에,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유아는 이들이 속한 다양한 환경 속에서 타인과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을 할 때 어려움을 가진다. 특히 이들이 가지는 상호작용적인 결함은 일차적으로 가정 내 양육자와의 의사소통 및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함은 이후 교육기관과 지역사회에서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이른 시기에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돕는 체계적인 교육 및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
자폐 범주성 장애는 생후 초기인 영아기에 발견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기 개입이 이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 발견 및 조기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판별에 준거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 발달의 어려움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영아는 자신의 필요를 표현하거나 요청하는 행동을 하는 데에는 특별한 어려움을 가지지 않는 것에 비하여 외부의 초점에 대해 사회적인 참여를 보이거나 상대자의 상호적인 관심에 …
자폐 범주성 장애는 생애 초기 영아기에 발견이 가능할 뿐 아니라 조기 개입의 효과가 크게 기대된다.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판별에 준거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 발달의 어려움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초기 특징이다. 이로 인해 영아기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진단하는 주요한 지표가 되는 공동관심 능력은 상대방의 공동관심 시도에 반응하는 공동관심 반응행동과 공동관심을 시작하는 공동관심 시작행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어머니에게 반응적 의사소통전략을 적용한 환경중심 중재에 대한 교육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