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장 자기관리
Self-Management
행동의 통제자로서의 ‘나’
- 우리는 행동 바로 전에 발생하는 사건을 원인으로 생각하며, 이런 원인이 즉각적이고 주변 환경에서 분명하게 보이지 않으면 내적인 원인으로 돌리는 성향이 강하다.
- 의지력이나 추동과 같은 가설적인 개념은 설명하려고 하는 행동을 이해하는 데 전혀 도움을 주지 않으며 순환론을 가져오는 허구 개념이다.
- Skinner(1953)는 자기통제를 2개 반응 현상으로 개념화했다. 통제하는 반응은 통제되는 반응의 발생 가능성을 변화하는 방식으로 다른 변인에 영향을 준다.
- 자기관리는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행동변화 전략의 적용으로 정의된다.
- 자기관리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행동변화 프로그램은 철저하게 고려하여 개발하고 적용하는 작은 단위의 자기관리로 볼 수 있다.
- 자기통제나 자기관리는 행동주의의 문헌에서 구분 없이 사용되지만, 자기관리는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어떤 형식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일컬을 때 사용한다.
- 자기통제는 행동의 완벽한 통제가 개인에 의존하지만, ‘자기통제’ 의 원인은 행동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 자기통제는 자신을 통제하거나, 외적 행동을 통제하는 자기 자신을 의미한다(Baum, 1994, p.157).
- 자기통제는 즉각적이나 가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보상보다는, 지연되지만 좀 더 좋은 보상을 얻기 위한 개인의 ‘지연된 보상에 대한 능력’을 말한다.
자기관리의 적용, 장점 및 이점
- 자기관리를 사용하는 네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 나쁜 습관을 버리고 좋은 습관을 들일 수 있다.
- 어려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 개인적 생활 습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 자기관리 기술을 배우고 가르치는 것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자기관리를 이용하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행동을 개선할 수 있다.
- 외부 행동변화 보조자는 때로는 행동이 발생한 중요한 시점을 놓칠 수 있다.
- 자기관리는 행동변화의 일반화와 유지를 촉진한다.
- 몇 개의 자기관리 기술로 많은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 다양한 능력을 가진 사람은 자기관리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 어떤 사람들은 스스로 과제를 선정하고 수행기준을 정했을 때 더 잘 행동한다.
- 자기관리 기술이 좋은 사람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집단 환경을 만든다.
- 학생들에게 자기관리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다른 교육과정에 도움이 된다.
- 자기관리는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 자기관리는 사회에 이롭다.
- 자기관리는 사람들을 자유롭게 해 준다.
- 자기관리는 기분을 좋게 해 준다.
선행사건 기반 자기관리 전략
- 선행사건 기반 자기관리 전략은 다음과 같이 목표(통제되는) 행동에 선행하는 사건이나 자극을 조작한다.
- 바람직한 행동이 더 많이 발생하도록 만들기 위해 동기 조작을 바꾼다.
- 반응촉진을 제공한다.
-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는 차별 자극에 반응하기 위해 행동연쇄의 처음 단계를 수행한다.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을 치운다.
- 제한된 자극 조건하에서만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한다.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은 특정 장소에서만 하게 만든다.
자기관찰
- 자기관찰은 자신이 변화하고자 하는 행동에 대해 기록을 통해 관찰하고 반응하는 절차이다.
- 내담자만이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방법으로, 자기관찰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연구된 자기관리 전략이며 바람직한 행동변화를 촉진한다.
- 자기관찰은 목표 설정 및 자기평가와 결합된다. 자기평가를 사용하는 사람은 자신의 수행과 미리 정한 목표나 기준을 비교한다.
- 자기관찰은 자기가 혹은 교사가 선정한 목표를 달성했을 때 강화를 주는 개입에 사용된다.
- 자기관찰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밝히기는 어려운데, 이 절차는 객관적인 관찰이 어려운 내적 사건(관찰이 어려운 언어 행동)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 절차는 분명하게 보이거나 추측만이 가능한 강화를 포함한다.
- 어른과 기록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아동들에게 자신의 행동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을 가르칠 수 있는데 , 아동들은 처음에는 교사의 자료와 비교해 일치하면 강화를 받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치도 확인을 줄이고, 마지막에는 독립적으로 행동을 관찰하게 된다.
- 자기관찰의 정확도는 관찰되고 있는 행동의 향상을 위해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다.
- 자기관찰을 위한 지침은 다음과 같다.
- 자기관찰이 쉽도록 자료를 제공한다.
- 추가적인 단서나 촉진을 제공한다.
- 목표행동의 가장 중요한 측면을 자기관찰한다.
- 초반에 자주 자기 관찰을 하지만, 목표로 하는 행동의 발생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 정확한 자기관찰을 보상한다.
자기실행 결과
- 자기보상(혹은 자기처벌)은 잘못된 용어이다. 비록 행동이 자기실행 결과로 바뀔 수는 있지만, 통제하는 반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자기 관리기술올 조작적 강화의 적용 이상으로 만든다.
- 자기관리 프로그램에 정적 · 부적 강화, 정적 · 부적 처벌을 모사한 자기실행 유관을 포함할 수 있다.
- 자기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만들 때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 작고 쉽게 줄 수 있는 결과를 선택한다.
- 의미 있고 달성이 어렵지 않은 강화제를 선택한다.
- 부틀렉 강화를 제거한다.
- 필요하면, 결과 제공 시 다른 사람을 이용한다.
- 가장 덜 복잡하고 방해가 적은 결과를 준다.
다른 자기관리 전략
- 자기지시(스스로에게 말하기)는 다른 행동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통제 반응(언어적 매개)으로 기능한다.
- 습관 반전은 원하지 않는 버릇을 자기관찰하게 가르치고 문제행동과 공존 불가능한 행동을 하게 해서 행동연쇄를 방해하도록 짜인 다중 요소 치료 패키지이다.
- 공포 체계적 둔감화는 원하지 않는 행동(불안과 공포)을 다른 행동(일반적으로 근육 이완)으로 대체하도록 가르치는, 불안, 공포, 두려움의 치료에 가장 많이 시용하는 행동 치료법이다. 자기주도 체계적 둔감화에서 내담자는 가장 덜 두려운 것에서 최고로 두려운 것에 이르기까지 위계를 만들고, 가장 덜 두려운 상황에서 시작해 다음 상황으로 차례대로 상상을 하면서 이완하는 것을 배운다.
-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억지로 반복 수행(Massed practice)시키면 그 행동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효과적인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
-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만들고 적용하기 위해 다음 6단계를 따른다.
- 1단계 : 목표를 정확하게 하고 변화시킬 행동을 정의하라
- 2단계 : 행동에 대한 자기관찰을 시작하라.
- 3단계 : 자연적 유관으로 연결될 유관을 고안하라.
- 4단계 : 행동을 변화시킬 결심을 모두에게 알려라.
- 5단계 : 자기관리 파트너를 구하라.
- 6단계 :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시 변경하라.
행동이 행동을 변화시킨다
- 자기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행동이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